연구원 소개

스마트시티, 스마트폰에 있지 않다
  • 작성자정승현
  • 작성일자2020/07/15 00:00:00
  • 분류기고
  • 조회수473
스마트시티, 스마트폰에 있지 않다

정승현 공학박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유엔에서 2019년에 발간한 ‘세계 도시화 전망’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약 97억명을 넘어서고 2100년에는 109억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구증가는 식량난과 같은 직접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해 도시문제를 악화시킨다. 우리의 수도권 집중과 같은 도시로의 인구집중은 주택부족, 교통혼잡, 환경오염, 범죄발생증가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수반하게 되는데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여기에 더해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자리 잡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와 같은 지능정보기술은 스마트시티를 가까운 현실로 만들고 있다.

유럽에서는 기후위기 대응 전략의 하나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전 유럽 도시에 걸쳐 시행하고 있고, 미국에서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구축을 통해 미국 전역으로 우수사례를 전파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스마트시티특별위원회를 통해 국가 차원의 스마트시티 정책을 수립하였고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정부의 핵심과제로 스마트시티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종과 부산에는 새롭게 건설되는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조성하는 국가시범도시로 만들고 있으며, 대구와 경기도 시흥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스마트시티 성과가 적용되고 있다. 그 외 광역지자체와 전국주요도시에서는 정부의 스마트시티 사업을 관내로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등 스마트시티는 도시 분야의 핵심이슈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시티 사업은 뭔가 알맹이가 빠진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리고 지방 중소도시들은 자체적으로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는데 인프라와 재원, 기본적인 역량에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존재하는 것 같다. 하지만 스마트시티가 대두된 배경을 이해하고 외국의 추진사례를 살펴보면 첨단기술 중심의 스마트시티 사업과 중앙정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것만이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는 방식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것은 스마트시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철학이다. 스마트시티에 반드시 현란한 첨단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에 접근하는 것도 정작 중요한 문제에 투입할 자원 활용의 비효율성만 키울 뿐이다.

스마트시티는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스마트’라는 접두어는 원래의 ‘지혜로운’이라는 사전적 의미보다는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과 첨단기술의 총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인지 스마트시티를 큰 비용이 투입되는 인프라 건설 사업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스마트시티는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대표적인 도시문제인 교통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중소도시에서 최첨단 정보통신 인프라를 설치하고 대규모 교통관제소를 지을 필요는 없다.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 자전거도로 인프라를 확대 정비하고 시민들이 편리하게 자전거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자전거 친화 도시로 만들면 자연스럽게 교통문제도 해결할 수 있고 대기질도 향상되며 차량 이용이 줄어들어 궁극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자칫 첨단기술이 적용된 도시만을 스마트시티로 생각한다면 현재의 필요와 효용이 확인되지 않은 설비와 인프라만 확대되고 실제 시민들이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여 도시서비스에 대한 체감도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아직 경주는 정부 지원의 스마트시티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그렇다고 조바심을 가지거나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미 우리 도시를 위한 다양하고도 스마트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어쩌면 도시문제 해결에 방점을 두고 진정 지혜로운(smart) 방식으로 도시(city)를 만들어 갈 기회와 가능성을 더욱 키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출처: 경주신문
URL: http://www.gjnews.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552&idx=70438

QU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