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건설지원센터 입주기업 소개
㈜에너드림
- 작성자최고관리자
- 작성일시2019/12/19 11:44
- 조회수4881
우리집을 에너지 자립공간으로 만드는 기술을
㈜에너드림이 책임집니다.
㈜에너드림이 책임집니다.
-
-
- 설립일 2021.12.17
- 대표자 김용기
- 업종 제조업
- 이메일 kimyk@kict.re.kr
비지니스 분야
- 정부·지자체·민간 신축주택 및 그린리모델링 분야

사회적 필요성
-
2050 탄소중립 전력 공급 믹스
(신재생에너지 : 2030년→30.2%, 2050년→72.1%)글로벌 ESS 시장 규모(단위 : GWh)
-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하여 주택에서의 탄소 배출 최소화 필요
- 제로에너지빌딩이 의무화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주택(단독주택, 공동주택)에서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것이 어려움
- 서울시 등 많은 지자체에서 미니 태양광을 설치하고 있으나, 설치 용량이 적고, 심미성이 좋지 않음
- 따라서 공동주택 세대에서의 에너지 자립율을 높이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 용량을 증대하고, 심미성을 개선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적용이 필요함
-
전력저장장치(ESS)의 구분
-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활용을 위한 가정용 전력저장장치(ESS) 필요
- 아파트 등 공동주택 각 세대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통해 잉여전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계처리가 안되므로 주간의 잉여전력을 ESS에 저장하고, 야간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음
-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및 전력피크 문제를 ESS를 통해 해소 필요
보유 기술의 탁월함
-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장치(BIPV)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 기술
- 건물 입면(창호, 난간, 벽체 등)을 활용한 투과형 태양광 모듈 및 컬러유리 태양광 모듈을 적용하여 태양광 발전 면적 확보, 입면(파사드) 경관 개선, 단열 효과 개선(단열재일체형) 기대
-
공동주택 세대용 전력저장장치(ESS)
- 가정용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 건물 주택(공동주택 및 단독주택)에서 발생하는 잉여전력을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ESS 제품 적용
- 화재에 안전하도록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사용하고, 3중 안전장치(BMS, PMS,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 적용
- 제품 발열 제거를 위하여 통풍기능을 극대화한 디자인 적용
- 시작품 제작 및 실증(공동주택 4개 단지 18세대) 완료(2021년)
- ESS를 PV 및 열펌프(heat pump)와 연계하여 탄소배출 제로 단독주택(넷제로에너지주택)을 구현 가능
-
공동주택 세대용 태양광(PV) 및 ESS의 플러그인(Plug-in) 전기 공급 방법
보유기술 목록
- 태양광 발전장치(특허등록 제10-1951720호)
- 고장 검출부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특허등록 제10-2076978호)
- 공동주택 Glass-to-glass 창호 및 난간 BIPV 설계 노하우(KICT ; K2020-0034KR)
- 건물 태양광발전시스템 발전량 예측 고장진단 및 운영관리 프로그램(C-2020-052854)
- 건물 태양광발전시스템 LCC(Life Cycle Cost) 분석 프로그램(C-2020-038824)
주요 사업실적
-
-
- 가정용 ESS의 시범적용 완료(고양시, 다세대주택, 8세대, 2021년)
- 전자신문 1면 기사 홍보(2021.09.10.)
- 전기신문, 헤럴드경제, 디지털타임스, 헬로디디,국토일보, e대한경제, 아시아경제신문, 건설기술신문 등에 홍보
-
-
- 그린리모델링을 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난간형, 창호형)의 시범적용 완료(원주시, 저층형 아파트, 2세대, 2020년)
- 가정용 ESS의 시범적용 완료(서울시, 고층형 아파트, 19세대, 2000년~2021년)
-
-
- SCI(E)급 국제논문 게재 2건, KCI 국내논문 게재 2건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우수논문상 수상(2020년 학술대회)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우수논문상 수상(2020년 춘계학술발표대회)
- AFORE 2021(10th Asia-Pacific Forum on Renewable Energy), Excellent Paper Award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