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원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한림기술
  • 작성자최고관리자
  • 작성일시2022/08/29 11:50
  • 조회수1597
㈜한림기술은 건설 전문 인력과 IT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전문 기업입니다.
스마트 건설기술의 발전을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 0
    • 설립일 2017.04.03
    • 대표자 이태훈
    • 업종 제조업 외
    • 이메일 hanlimce@naver.com
비지니스 분야
  • 정부·지자체·민간 건설 설계 분야
1
사회적 필요성
  • 2
  • 급경사지 붕괴로 인한 인명/재산피해 증대
      [최근 10년간 산사태 발생 추이]
    • 산림청 산사태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한 집중호우빈발로 산사태 피해가 증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 최근 10년간 피해면적(연평균) : 340ha
    • 최근 10년간 복구비(연평균) : 736억원
  • 2
    • [산사태 및 절개사면 붕괴 사례]
    • 우면산 산사태 발생, 16명 사망(2011.07.27)
    • 경부선 사면붕괴, 3차로 전면차단(2013.07.05)
    • 부산 사하구 산사태 발생, 4명 사망(2019.10.03)
보유 기술의 탁월함
    기존 사면 계측 시스템의 한계
  • 기존 사면 계측 시스템의 경우, 1)예·경보모델링 방식과 2)아날로그 계측방식과 3)디지털(IoT) 계측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각각 1)이론에 근거하고 2)고비용, 운영 및 관리 방식 난해, 3)경보발생위주로 이루어져 급경사지 붕괴 예측을 할 수 없다.
    IoT 센서와 AI 기술을 융합한 급경사지 예·경보시스템
  • ㈜한림기술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IoT 센서와 AI기술이 융합된 급경사지 예·경보시스템이다. 제품 구성은 IoT 센서와 센서 연계장치, 그리고 영상관제장치로 이루어진다. IoT 센서는 설치지역의 변위와 온·습도를 측정하며 측정값은 센서 연계장치를 거쳐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영상관제장치에서는 객체(IoT 센서)를 인식하고 가상Grid 활용의 전·후영상 가상좌표값의 변경값과 비교시점간격을 활용하여 변위 속도를 산정한다. 산정된 값은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달된다. IoT 센서 측정값과 영상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면 붕괴 예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센서연계장치 및 연계기관으로 신속한 경보 전파를 통해 급경사지 붕괴사고를 예방한다.
[구성 및 System Process]3
[Yolo 방식을 활용한 Target(IoT 센서) 지정과 Grid활용 변위 속도 산정 방법] 4
주요 사업실적
  • 5
    • 2021.11 : 2021 스마트건설 창업아이디어 공모전 장려상
    • 2020.12 : 대구광역시장 표창장
    • 2020.12 : 2020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 동상
    • 2020.11 : 스마트건설챌린지 2020 국토교통부장관상 수상
    • 2019.06 : 2019 건설경제 Best 상품 수상
    • 2018.10 : 한국도로공사 건설안전 혁신대회 우수상
    • 스마트건설[시공중 안전분야]
      - 스마트 IoT 장치 : 창원시국도대체우회도로 외 350개 현장 이상 납품
      - 지능형 영상분석 : 금호워터폴리스조성공사 외 30개 현장 이상 납품
      - 통합관제시스템 : 창원시국도대체우회도로 외 70개 현장 이상 납품
    • 스마트건설[유지관리 분야]
      - 포장관리시스템 : 한국도로공사 포장 솟음 예방 스마트 관리 사업 계약
      - 교량협착감지시스템 : 한국도로공사 교량 협착 스마트 유지관리 사업 계약
      - 스마트시티 : 대구스마트시티 수성의료지구 구조물안정성 관제 사업 계약
  • 6
    • 2017.04 : 한림기술 개업(법인전환-2018.05)
    • 2017.12 :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제2017115937호)
    • 2018.01 : 벤처기업 인증(제20180100464호)
    • 2020.01 : 벤처기업 재인증(제20200100559호)

QU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