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국민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Research
실내 환경에 대한 다각적이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단은 첫째, 다양한 실내공기품질 자료의 구축, 둘째, 지수화 및 시각화를 통한 실내공기품질 정보의 활용성과 접근성 극대화, 셋째, 측정 및 예측기술에 근거한 에너지 절감과 실내공기품질 최적화, 넷째, 유형별 능동적 해결방안 마련과 생활안전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4차 산업시대의 미래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취약계층 등의 실내공기품질 만족도 개선과, 에너지와 환경 문제의 통합해결 및 안전관리에 기여하겠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 다중센싱기반의 실내공기질 모니터링 및 평가기술 개발
    • 실시간 실내공기품질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
    • 다양한 실내공기오염물질에 대한 맞춤형 다중센싱 활용기술 개발
    •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 수 변화량 감지 및 예측기술 개발
    • 인지Gap을 반영한 실내공기오염물질 노출분석 및 위해성 평가
  • 이용자 체감을 고려한 지능형 실내공기품질 개선기술 개발
    • 이용자 체감형 실내공기품질 통합평가지수 개발
    •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실내공기질 예측신뢰도 확보기법 개발
    • 실내공기품질 정보의 가시화(가상/증강현실) 및 기술수요자 제공 기술개발
    • 환기에너지 소비량저감 및 극한상황(폭염 등) 대응기술 개발
    • 시설 특성을 반영한 공기청정기술 개발
    • 온열환경개선 및 쾌적환경 지향성 능동형 구동장치 최적 제어기술 개발
  • 안전사고 신속대응 및 유형별 맞춤형 관리기술 개발
    • 실내공기품질 측정을 통한 안전사고 신속감지 및 사전대응기술 개발
    • 급·배기 시스템 제어 등을 통한 오염물질 확산방지기술 개발
    • 이용자 만족도 개선을 위한 센싱데이터 기반의 능동형 실내공기품질 관리기술 개발
    • 스마트시티 연구사업 연계방안 제시
    • 시설 유형별 표준운영절차서(SOP) 개발 및 인증제도 연계방안
  • 리빙랩 활용을 통한 실내공기품질관리 플랫폼 실증 및 적용
    • 다양한 이해관계당사자가 참여하는 국민중심 리빙랩 구축 연구
    •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실증시험
    • 다중이용시설에서의 능동형 통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도출 연구
QUICK